구글 지도에서 한국의 위성 사진의 해상도가 낮은 이유
구글 지도에서 한국 영토의 위성사진을 확대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해상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가보안의 측면에서 위성사진은 문제가 될 소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수적인 북한에서도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은 매우 선명합니다.
국가보안만을 문제로 삼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일부 지역의 해상도가 업데이트되긴 하였지만 여전히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해상도가 좋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지역은 해상도가 너무 낮아서 건물의 모양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위성사진이 왜 해상도가 낮은지 알아보고 다른 나라 위성사진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2020년까지 구글 지도에 실린 한국의 위성 사진들
2010년 구글이 대한민국 지도정보를 요청했지만 국토부 승인 과정에서 국방부가 국가안보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후 2016년 지도 반출 논의가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위성사진에 나타난 군사시설을 가리지 않으면 지도 반출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여전히 고수했다.
다만 구글은 전 세계 군사시설이 이미 위성사진에 노출돼 유통되고 있어 블라인드 처리에는 큰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국내 위성사진은 매우 낮은 화질로 공개됐을 뿐이다.
2. 2021년부터 바뀌는 한국의 구글 위성 사진
구글은 지도 반출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국내에 구글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해외로 수출하지 않고도 고품질의 지도와 위성영상을 갱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설립된 구글 데이터 센터는 2021년부터 한국의 지도와 위성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기 시작했다.
다만 현재까지 해외 서버의 데이터만 업데이트됐다.
외국 서버에서는 한국의 영토를 아주 선명한 사진으로 볼 수 있다.
국내 서버도 일부 업데이트됐지만, 여전히 다른 나라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세계 축구 경기장 위성 사진의 화질
여러 나라 축구 경기장의 위성사진을 보면 해상도가 얼마나 선명한지 알 수 있다.
한국 위성사진이 해상도가 낮다는 것은 사진으로 쉽게 설명된다.
우리나라의 위성사진과 외국의 위성사진을 비교해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우리나라의 위성사진 먼저 소개하도록 하겠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축구 전용구장인 상암월드컵 경기장이다.
2020년에 비해 해상도가 높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해상도는 여전히 낮고, 사진의 업데이트된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과 겹친다.
경기장 잔디 라인과 관중석 모양이 희미하게 보인다.
해상도가 너무 낮아 건물 형태를 확인할 수 없는 곳도 있다.
구글은 국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북한의 능라도 경기장 사진이다.
상암월드컵경기장 잔디와 비교하면 훨씬 선명하다.
축구장의 중앙 원과 페널티 박스, 트랙 레인의 선을 확인할 수 있는 고해상도 사진이 공개된다.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전이 열린 일본 사이타마 스타디움이다.
관중석의 좌석 형태까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고해상도 화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축구 스타 손흥민이 소속된 토트넘 홋스퍼의 홈구장인 화이트 하트 레인이다.
경기장 내 잔디 관리 시설까지 확인할 수 있다.
관중석에 나이키 로고가 선명하게 보이는 해상도는 정말 놀랍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의 사진이다.
세계 최고의 축구 스타 리오넬 메시가 활약했던 FC바르셀로나의 홈구장이다.
안타깝게도 메시는 다른 구단으로 이적해 이곳 경기장에서 뛰는 모습을 볼 수 없다.
한국과 우루과이가 2010 남아공 월드컵 16강전을 치른 경기장이다.
해상도는 영국과 일본 경기장보다 조금 떨어지지만, 상암월드컵경기장의 위성사진보다는 선명해 보인다.
지금까지 구글 지도에서 한국 위성사진의 해상도가 높지 않은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구글은 한국의 지도 데이터를 계속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은 곧 한국의 선명한 위성 이미지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