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우리나라의 국토교통부에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있습니다.
국가지리정보원은 대중에게 실시간 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럼 국토지리정보원의 기능과 사업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하는 일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의 경제발전과 국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에 기여하고 있으며, 정확한 국가위치표준체계와 공간정보 구축을 목표로 미래를 선도하는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주요 업무는 측량 정책 수립, 측량 방법 운영 및 시행, 국가 측량 기준 관리, 항공 사진 관리, 지리 측량, 지도 전산화, 지도 배포, 국가 지리 정보 시스템 운영 등이다.
2. 위치기준구축
지리학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공간에 대한 질적 정보는 정확한 위치 기준이 있어야 얻을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위성 기반의 우주 측지 기술로 공간 위치 표준을 수립하고 각종 측량 인프라를 활용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 각종 토목, 지각변동, 실시간 위치 표준 서비스 등에 활용하고 있다.
3. 공간영상정보 구축
국토지리정보원은 전국을 도시지역(해상도 12cm)과 비도시지역(해상도 25cm)으로 나누고 1년과 2년마다 수집하는 고해상도 항공사진과 위성사진을 통해 국가이미지 정보를 생산한다.
이러한 영상정보는 고정밀 2차원 영상지도로 제작되며, 2차원 영상지도는 3차원 작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VR, AR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3차원 공간정보로 구성된다.
4. 지도제작
지도는 국토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은 2차원 지도, 3차원 지도 등 다양한 형태의 지도는 물론 국가기본지도를 객체 수준 DB, 국가인터넷지도, POI 형태로 제작하고 있다.
5. 국토조사
국토정보지리원은 국토정책을 위해 인구, 경제, 사회, 문화, 토지 등에 대한 통계를 실시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지명을 지속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국토지표 180개를 정책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리드 수준의 통계서비스를 제공한다.
6. 국제협력
1966년, 한국은 네덜란드의 지원을 받아 정부 차원의 지도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 발전으로 한국의 지도 기술은 이미 세계 정상에 올라 우리의 기술을 여러 나라에 전수하고 있다.
네팔, 카자흐스탄, 중국, 요르단, 페루, 이스라엘 등 해외 우주 관련 단체와 MOU를 체결해 상호 기술협력과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7. 대국민 서비스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정보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민간, 공공 등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 개방과 활용을 담당하는 서비스 채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도박물관, 공간정보교육, 고객지원센터 등 공공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정확한 지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고급 지도는 미래에 우리의 삶을 점점 더 정확하게 만들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