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도가 위치하고 있는 바다 동해

by ever_graphy 2023. 4. 3.
728x90
반응형

독도가 위치하고 있는 바다 동해

한국과 일본은 독도가 위치한 바다인 동해의 이름을 놓고 오랫동안 분쟁을 벌여왔습니다.

지금부터, 우리는 동해의 의미와 불려온 다양한 이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동해의 의미

동해는 기원전(B.C)부터 불리던 고유명사이다.

단순히 한국의 동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동해로 표현되었다.

동해(East Sea)은 흑해(Black Sea)나 홍해(Red Sea)처럼 오래전부터 불리던 고유명사이다.

 

 

2.동해의 여러가지 명칭들

동해는 세계의 여러 지도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어 왔다.

동해의 다양한 명칭

1) 동대양Ⅰ(Oriental OceanⅠ)

1502년, 이탈리아의 알베르토 칸티노는 동해와 동남아시아의 바다를 동방해 I로 명명했고, 그것은 이탈리아, 네덜란드, 프랑스에서 사용되었다.

 

2) 동대양Ⅱ(Oriental OceanⅡ)

오리엔탈 오션 II는 오리엔탈 오션 I의 넓은 면적에서 벗어나 현재의 동해 만의 해역으로 한정된다.

1655년 브리에 신부는 오리엔탈 오션 II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일본의 지도를 만들었다.

 

3) 동양해(Oriental Sea)

1698년, 프랑스의 기욤 델리슬은 그의 책 "아시아"에서 동양해로 표기했다.

 

4) 동해(Tonghae)

19세기말까지 청나라에서 사용하였다.

 

5) 동해(East Sea)

18세기 활발한 지도 제작 활동을 한 시넥스(John Senex)는 1721년 지도 "아시아"에서 동해(East Sea)로 표기하였으며 이후 Eastern Sea, Korea Sea 또는 Oriental Sea 등으로 표기하였다.

 

6) 한국해(Sea of Korea)

1615년, 마누엘 고디뉴 데 에레디아는 마카오에서 발간한 동아시아 지도에서 한국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7) 조선해(Josen kai)

동해를 조선해라고 처음 명명한 사람은 일본 막부를 이끌었던 다카하시 카게야스였다.

1809년, 그는 동해를 일본의 국경 섬에 있는 조선해로 표시했다.

 

8) 일본해(Ribon Hai)

1602년 마테오 리치가 만든 세계지도에서 세계 최초로 일본해라는 이름이 사용됐지만, 지도는 중국어로 작성돼 유럽에는 큰 의미가 없었다.

200년 후인 1802년,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일본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9) 일본해(Sea of Japan/Japan Sea)

1704년 놀랭(Jean Baptiste Nolin)이 지도 "아시아"에서 동해를 일본해(Sea of Japan/Japan Sea)라 표기하였고 이후 19세기 지도들의 표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 일본해(Nipon Kai)

일본해(Nipon Kai)는 일본해(Ribon Hai)를 일본어로 옮긴 것으로 1792년 일본내해로 표기하고 1802년 일본해(Nipon Kai)i로 표기하였다.

 

11) 북해(Septentrional Sea/Boreal Sea)

1896년 드 페드로는 일본의 북해라는 의미로 동해를 북해(Septentrional Sea/Boreal Sea)라고 표기하였다.

 

12) 북해(Hok Kai)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바다의 고유한 이름으로 명명하지 않고 방향만 표기했다.

 

 

3. 동해의 명칭을 둘러싼 일본과의 분쟁

일본해는 일제 강점기에 공식적으로 국제 명칭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한국이 인정하기 어려웠다.

동해에 대한 논쟁은 1992년 한국이 그 이름의 중요성을 제기했을 때 처음으로 이슈가 되었다.

현재까지 동해의 명칭에 대한 공식적인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은 일본해만을 사용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대한민국 외교부의 입장은 동해와 일본해의 명칭을 함께 병기하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4. 동해와 일본해 병기에 대한 국제적 상황

세계지도에 따르면 동해와 일본해의 동시 표기 비율은 1990년대 초반 0.2%, 2005년 18.1%, 2007년 23.8%, 2011년 28.2%에 달했으며 2014년 비공식 통계는 40%에 달했다.

일본을 제외한 G7 국가의 50% 이상이 동해와 일본해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국제수로기구(IHO)는 현재 바다 이름 표기 표준인 S-23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해만을 사용한 표기는 유효하다.

그러나 새로 채택된 표준인 S-130은 고유식별번호로 바다를 표기하고 있어 이 표준이 개발되면 일본해 표기의 유일한 효력이 상실돼 동해·일본해와 병행 표기가 가능하다.

 

 

한국과 일본은 동해의 표시를 두고 여전히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일본은 단일 표기를, 한국은 동시 표기를 주장합니다.

국제 정세도 동시 표기 쪽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동해는 독도가 있는 동쪽의 바다가 아니라 고유명사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