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야현상이 발생하는 지역과 극야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의 위도

by ever_graphy 2022. 8. 3.
728x90
반응형

백야현상이 발생하는 지역과 극야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의 위도

백야 현상은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는 현상을, 극야 현상은 하루 종일 해가 뜨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유럽 등지에서 백야와 극야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여기를 여행한 사람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제, 왜 이런 현상들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1. 지구 자전의 축

지구 자전의 축(출처_위키미디어)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그리고 지구는 24시간을 기준으로 자전한다.

오늘의 주제인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자전하는 축의 기울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약 23.44도이다.

지구는 이 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자전을 반복하고 있다.

지구처럼, 태양계의 모든 행성은 반복적으로 회전하고, 그 축의 기울기는 행성마다 다르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수성은 0도를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자전한다.

금성은 지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행성이다.

서쪽에서 해가 뜨는 세상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2.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의 원인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출처_네이버 지식백과)

위의 그림을 보면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햇빛이 24시간 계속 비추는 지역과 반대로 어둠이 24시간 지속되는 지역이 있다.

정확한 극지방은 6개월을 기준으로 밤낮이 바뀐다.

그 이유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는 1년 단위로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극지방은 6개월 단위로 밤낮으로 변한다.

 

 

3.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이 생기는 지역의 위도

백야현상과 극야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출처_네이버 지식백과)

백야 현상과 극야 현상은 위도가 48도 이상인 지역에서만 나타난다.

이 위도를 기준으로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극에 가까울수록 백야과 극야 현상이 길게 나타나고 극에 이르면 6개월 주기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원리들을 종합해보면, 여름에는 백야 현상이 나타나고 겨울에는 극야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여름에는 해가 길고 겨울에는 해가 짧다.

이처럼 여름과 겨울의 길이 차이와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는 같은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는 자연 현상이다.

북반구에서 백야 및 극야 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은 북유럽 국가, 아시아에서는 카자흐스탄과 몽골, 북미에서는 캐나다, 알래스카, 그린란드 등이다.

남반구에는 남아메리카에 칠레 아르헨티나가 있다.

 

 

4. 백야여행

백야여행(출처_참 좋은 여행)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백야를 경험하기 위해 여행을 한다.

북반구에서, 백야는 보통 6월과 8월 사이에 발생한다.

백야 현상을 보기에 가장 좋은 여행지는 북유럽이라고 생각한다.

백야와 동시에 아름다운 북유럽 자연과 감성의 도시를 만날 수 있는 투킬 여행이 될 수 있다.

백야의 나라인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는 것도 매우 낭만적인 추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극야 현상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휴가를 보내고 싶다면 아름다운 안데스 산맥을 공유하는 칠레와 아르헨티나로 떠나도 좋다.

 

 

지금까지 우리는 백야 현상과 극야 현상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극의 움직임에 대한 이론과 예측이 수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과 예측에 너무 신경을 쓰고 걱정하기보다는 친환경 에너지를 통해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를 늦추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